Post

[인문] 도파민네이션 - 에나 렘키 (흐름출판)

Dopamine Nation - Anna Lembke

tl;dr 1


  1. 끊임없는 쾌락 추구(그리고 고통 회피)는 고통을 낳는다.
  2. 회복은 절제로부터 시작된다.
  3. 절제는 뇌의 보상 경로를 다시 제자리에 맞추고, 이를 통해 더 단순한 쾌락에도 기뻐할 수 있도록 한다.
  4. 자기 구속은 욕구와 소비 사이에 말 그대로 초인지적 공간을 만드는데, 이 공간은 도파민으로 과부하를 이룬 지금 세상에 꼭 필요한 것이다.
  5. 약물 치료는 항상성을 회복할 수 있다. 하지만 약물 치료로 고통을 해소함으로써 잃는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라.
  6. 고통 쪽을 자극하면 우리의 평형 상태는 쾌락 쪽으로 다시 맞춰진다.
  7. 그러나 고통에 중독되지 않도록 주의하라.
  8. 근본적인 솔직함은 의식을 고취하고, 친밀감을 높이며, 마음가짐을 여유있게 만든다.
  9. 친사회적 수치심은 우리가 인간의 무리에 속해 있음을 확인시킨다.
  10. 우리는 세상으로부터 도망치는 대신 세상에 몰입함으로써 탈출구를 찾을 수 있다.

후기


이 책을 자기개발 도서라고 분류해야할지 모르겠다. 보통 그런 부류의 책의 흐름이라고 한다면, 저자가 주저리주저리 (처음에는 보통 부정적인) 어떤 사례를 들고와 자기가 주장하는 바에대해 대치시키거나 자신의 주장을 잘 따랐기 때문에 결과가 개선되었다, 로 흘러간다. 이 책도 똑같은 패턴을 답습한다.

그럼에도 그런 도서들과의 차별성이 있다면 작가 스스로의 전문성과 참조한 여러 자료들이 있다는 점이다.

책이 이야기하는 내용들이 나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될 이야기들이 많다.) 하지만 굳이 이런식으로 자신의 경험을 가져와서 장황하게 이야기할 내용인지는 모르겠다.

깊은 인사이트가 있지만 과학에 기반해서 이야기하는 만큼 여러 썰들로 이정도 분량을 채운 것은 아쉬웠다.

Reference


  1. <애나 램키, 도파민네이션. (흐름출판, 2022), 맺음말 저울의 교훈>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